
DRB오토모티브는 기후변화 리스크 분석부터 대응 및 개선까지 총 4단계에 걸쳐 리스크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정기적인 리스크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검토하여 경영 전략에 반영하고, 구체적인 리스크 관리 활동과 연계함으로써 그 성과와 개선 방안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향후 고도화된 분석을 통해 사업장별 세부적인 위험과 기회를 식별한 전략 수립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 1.기후 변화 리스크 분석 | 2.대응 방안 검토 | 3.리스크 관리 및 대응 활동 | 4.리스크 대응 성과 모니터링 및 개선 |
|---|---|---|---|
|
|
|
|
DRB오토모티브는 2045년 탄소중립(Net Zero)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중단기 목표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준년도(2021년, Scope 1+2 총 배출량 7,394.65 tCO2eq) 보다 28% 감축(Scope 1+2 총 배출량 5,915.72 tCO2eq) 하고자 합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DRB오토모티브는 자동화 및 운영 최적화를 통해 불필요한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원자재 단계에서의 감축을 위해 재생 고무 및 저탄소 소재 사용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자동차 OEM 고객사의 친환경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지속 가능한 원자재 적용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2024년에는 사업장 부지 임대를 통해 태양광 발전 시설을 구축하고 20년간 사용 계약을 체결하여 기존 사용 전력의 15~2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고 있습니다. 향후, 한국의 재생에너지 전환 환경을 고려하여 RE100 대응을 위한 인증서(REC) 구매와 추가적인 PPA 계약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확대할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 DRB오토모티브는 2022년 5월 DRB동일에서 분할되었으며, 기준년도(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DRB오토모티브 기준 7,394.65 tCO₂eq, DRB동일과 합산 시 7,532.05 tCO₂eq입니다.

1)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적용
DRB오토모티브는 지속가능경영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외부 전문기관의 3자 검증을 연 1회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검증은 ISO 14064-1 및 ISO 14064-3 등 국제적으로 공인된 기준에 따라 수행되며, Scope 1, Scope 2는 물론 주요 사업장의 Scope 3 배출에 대해서도 검증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확보하고, 기후변화 대응 전략의 실행력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검증 결과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및 각종 공시자료를 통해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으며, 이해관계자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책임 있는 기후 리더십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DRB오토모티브는 기후변화대응을 위하여 탄소정보 공개 프로젝트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2023년을 기점으로 CDP에 참여하였으며, 구체적인 감축목표 및 이행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는 전 세계 주요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수준, 탄소경영 역량, 탄소배출량, 감축노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가장 공신력 있는 기관입니다.
| 년도 | Climate Change 결과 |
|---|---|
| 2024 | SME B |
| 2023 | C |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UNGC Network Korea), 세계자연기금 한국본부(WWF-Korea),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이 2020년 공동 발족한 “기업 재생에너지 이니셔티브(Corporate Renewable Energy Initiative, CoREi)”는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기업이 자발적으로 재생에너지로 전환을 선언하고 그에 따른 목표를 이행하도록 지원하는 이니셔티브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