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DRB오토모티브는 기후변화 리스크 분석부터 대응 및 개선까지 총 4단계에 걸쳐 리스크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정기적인 리스크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검토하여 경영 전략에 반영하고, 구체적인 리스크 관리 활동과 연계함으로써 그 성과와 개선 방안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향후 고도화된 분석을 통해 사업장별 세부적인 위험과 기회를 식별한 전략 수립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DRB 전 법인 온실가스 배출량 Scope1, Scope2 정보 제공
1.기후 변화 리스크 분석 2.대응 방안 검토 3.리스크 관리 및 대응 활동 4.리스크 대응 성과 모니터링 및 개선
  • 연관성 높은 리스크의 정의
  • 리스크 분석
    (리스크 발생주기, 발생 가능성, 리스크 발생 시 재무적·지리적·시간적 영향 범위 등)
  • 온실가스 감축
  • 사업장 건립 및 운영
  • 제품 및 서비스
  • 기술 R&D
  • 기후변화 대응 비용
  • 사업장 에너지 효율 개선
  • 재생에너지 확충
  • 온실가스 감축 사업 추진
  • 기후 변화 이니셔티브 참여
  • 협력사 감축 사업 지원
  • 수행성과 모니터링
  • 활동결과 평가
  • 평가결과 반영 및 개선
  • 차년도 연간 활동계획 수립

DRB오토모티브 온실가스(Scope 1+2) 배출량 및 집약도

DRB오토모티브는 매출량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감하였고, 태양광 발전 설비 설치를 2024년 상반기 완료하였습니다.

기후변화대응 이니셔티브

기후 앰비션 엑셀러레이터(UNGC CAA)

기후변화대응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내외 다양한 이니셔티브에 참여하여 이를 기반으로한 사업장 전과정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에 대한 1.5℃ 경로와 일치한 과학기반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넷제로 전환을 가속화하는데 필요한 지식 및 기술을 함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
(Carbon Disclosure Project,CDP) Climate Change

DRB오토모티브는 기후변화대응을 위하여 탄소정보 공개 프로젝트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2023년을 기점으로 CDP에 참여하였으며, 구체적인 감축목표 및 이행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는 전 세계 주요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수준, 탄소경영 역량, 탄소배출량, 감축노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가장 공신력 있는 기관입니다.

기업 재생에너지 이니셔티브
(Corporate Renewable Energy Initiative, CoREi)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UNGC Network Korea), 세계자연기금 한국본부(WWF-Korea),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이 2020년 공동 발족한 “기업 재생에너지 이니셔티브(Corporate Renewable Energy Initiative, CoREi)”는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기업이 자발적으로 재생에너지로 전환을 선언하고 그에 따른 목표를 이행하도록 지원하는 이니셔티브 입니다.

DRB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프로세스

1)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적용

 온실가스 배출량 제3자 검증

검증 대상 사업장

  • DRB오토모티브(주)

검증 원칙과 기준

  • ISO14064-3 온실가스 선언에 대한 타당성 평가 및 검증을 위한 사용 규칙 및 지침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을 위한 2006 IPCC 가이드라인

검증 방식

  • 직접배출(Scope1) : 고정연소, 이동연소, 기타온실가스 배출
  • 간접배출(Scope2) : 외부 전기, 외부 열
  • 검증대상 온실가스 : CO2, CH4, N2O, HFCs, PFCs, SF6 6대 온실가스

검증 기관

  • (주)한국품질보증원(2022 ~ 2023)​